안녕하세요, 엘리하나입니다.
오늘은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에 대해 소개해 드리려고 합니다.
내 집 마련에 있어서 그동안 청년들은 소외되어 왔는데요. 정부에서 청년 우대형 주택청약에 이어 청년들을 위한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을 2월부터 시행하기로 했습니다.
청년층들을 위한 청약 통장인 만큼 ' 만 19세 ~ 34세의 무주택 청년'이 가입할 수 있으며, 월 최대 100만 원까지 납입할 수 있다고 합니다.
그러면 어떻게 신청해야 되는지 자격 조건은 어떻게 되는지 자세히 알아볼까요?
청년 주택드림 통장이란?
청년주택드림청약통장은 청년층의 주택 구입을 돕기 위해 정부에서 마련한 제도 중 하나입니다.
기존 '청년우대형 청약 통장'에 비해 요건을 완화하고 혜택을 늘린 통장입니다.
이 통장을 활용해서 청약에 당첨되게 되면 청년 주택드림 대출을 통해 최저 2.2%저금리로 분양가의 80%까지 대출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주요 혜택
- 우대금리: 연 4.5%의 우대금리가 적용
- 청약 가점 부여: 기존 청년 우대형 청약 통장 가입자는 새 청약 통장으로 자동 전환되며, 가입기간과 납입 횟수 모두 인정 가능
- 청년 주택드림 대출 연계: 청약통장으로 청약에 당첨된 경우, 2.2%의 저금리로 최대 80%까지 대출 가능
자격 조건 및 가입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에 가입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 만 19세 ~ 34세 무주택자
- 연 소득 5천만 원 이하인 근로조득자 또는 종합 소득자
기 존 | 개 선 | |
연소득 | 3천500만원 | 5천 만원 |
금리 | 4.3% | 4.5% |
납부 한도 | 월 50만 원 | 월 100만 원 |
* 기존 청년 우대형 청약 통장 가입자의 경우 주택 드림 청약 통장 출시 때 별도의 신청 없이 자동으로 가입 전환 가능
일반 청약종합저축 가입자 또한 조건에 부합하면 전환 가입 가능
청년 주택 드림 대출
청년주택드림청약통장으로 청약에 당첨된 청년은 청년 주택 드림 대출과 연계해서 대출 혜택을 보실 수 있습니다.
- 가입 조건 : 청년주택드림 청년 통장 1년 이상 가입, 1000만 원 이상 납입 실적
- 혜택 : 분양가 80%까지 금리 최저 2.2%, 최장 40년 대출 가능
- 지원 대상 : 만 39세 이하 무주택자(미혼인 경우 연 소득 7천만 원, 기혼인 경우 소득 1억 원 이하(부부합산))
- 대상 주택: 분양가 6억원 이하, 전용 85㎡ 이하
▶생애 주기별 우대 금리 추가 지원
기존 금리에서 결혼시 0.1%, 최초 출산 시 0.5%, 추가 출산 시 1명당 0.2%(단, 대출 금리 하한선은 1.5%) 추가 지원
그 외 청년들을 위한 주거 지원
당장 내집 마련이 어려운 청년들을 위한 추가적인 대책도 나왔습니다.
✔️ 금리 주택 기금 전월세 대출 지원 강화, 월세 세액공제 확대
✔️ 청년 보증부 월세대출, 주거안정 월세대출 지원대상, 한도 확대 실시
- 보증금 : 5천만원 → 6천만원 이하
- 보증금 대출 한도 : 3천500만 원 → 4천500만원
- 월세 대출 한도 : 50만 원
✔️ 전월세 계약 종료 직후 8년 내 분납할 수 있도록 완화하여 일시 상환의 부담을 덜어주기로 했습니다.
✔️ 높은 금리의 전세대출을 주택 기금 전세 대출로 전환하는 대환 지원을 확대하여, 전세대출 이자 부담↓
(現) 전세계약 후 3개월 내에만 가능 → (改) 소득 5천만 원 이하는 6개월까지 대환 허용
✔️ 중소기업 취업 청년 전세자금 대출은 대출 연장 시 원금 분할 상환 유예
(現) 대출연장 시 원금 10% 이상 상환(또는 0.1% p 금리가산) → (改) 연장 1회에 한해 미적용
끝으로 우리나라에서 내 집 마련을 하려면 월급을 한 푼도 쓰지 않고 30년 이상을 모아야지만 가능하다고 합니다. 그러기에 사회 초년생인 청년들에게는 꿈조차 꿀 수 없는 현실이 되어버렸는데요.
청년들을 위한 주거정책이 지속적으로 확대되어 대한민국의 미래를 책임지고 있는 청년들이 더 이상 집 걱정 없이 살 수 있길 간절히 바라봅니다.
'정보일기 > 생활꿀팁 및 정보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절약하면 현금으로 돌려주는 'K-가스캐시백' 신청하세요! (1) | 2024.02.02 |
---|---|
더욱더 풍성한 설 연휴를 위해 '설 연휴 여행,관람 등 즐길거리 알짜정보' (1) | 2024.01.29 |
2024년, 최저시급과 생계지원금 인상됩니다. (1) | 2024.01.18 |
2024년, 부모 급여가 인상됩니다. (6) | 2024.01.15 |
2024년 더 좋아지는 인천생활 - 주요 정책 확인! (6) | 2024.0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