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엘리하나입니다.
저희 집은 겨울철 되면 매서운 추위보다 두려워지는 게 가스요금이랍니다.
그래서 한때는 전기장판, 따수미텐트로 어떻게든 아껴보려고 노력한 적도 있답니다.
이렇게 노력해도 줄지 않는 가스비요금 때문에 어떻게 해야 되나 고민이 많았는데요.
알아보던 중 난방비를 돌려주는 캐시백 제도가 있다고 해서 소개드리려고 합니다.
특히, 올해는 정부가 도시가스 캐시백 인센티브를 대폭 확대했다고 하니 반드시 신청하셔서 혜택 누리시길 바랍니다.
⏹️ 도시가스 절약 캐시백이란?
종 전 | 개 정 |
2022년 7% 이상 절감 | m3 당 최대 70원 할인 |
2023년 3% 이상 절감 | m3 당 최대 200원 할인 |
작년에만해도 7% 이상 절감해야 캐시백 혜택을 볼 수 있었는데요, 올해부터는 조금 더 완화돼서 3%만 절약해도 캐시백으로 돌려받을 수 있다고 합니다. 게다가 할인 액도 70원에서 최대 200원까지 크게 증가했습니다.
⏹️ 캐시백 지급기준
전년 동기간 대비 3%* 이상 절감 시 절감율별 차등 지급하며, 절감률이 높을수록 캐시백 지급단가가 높아집니다.
* 절감노력을 수반하지 않는 기온상승에 따른 자연감소에 대한 온도 보정계수 적용 예정
ex) 동절기(12~3월) 기온이 평년기온 대비 1°C 상승 시 5%p 자연 감소되므로, 1°C 상승 시 8%로 기준 변경

⏹️ 얼마나 아낄 수 있을까?

계산해보니 대략 4000원 정도가 절감되네요. 조금 아꼈을 뿐인데 커피값이 현금으로 들어온다니 쏠쏠한 것 같습니다.
⏹️ 참여대상
① 전출 • 전입, 명의변경 등으로 인하여 도시가스사 또는 고객식별번호가 변경되어 절감기간 및 비교기간의 전체 사용량 조회가 불가능한 경우
② 주택난방용 이외에 타용도 요금제(산업용, 업무난방용 등) 사용자
③ 신청자(회원가입자)와 계약자 명의가 다르나 계약자 정보제공동의서를 미제출한 사용자
④ 도시가스사 또는 고객식별번호를 오기입하여 사용량 조회가 불가능한 경우
⑤ 중앙난방에서 개별난방으로 전환하여 절감기간 및 비교기간 중 각 세대별 사용량 자료가 없는 경우
⑥ 기타 사유로 절감기간 및 비교기간의 사용량 조회가 불가능한 경우
⏹️ 신청기간
⏹️ 신청방법
· k-가스캐시백 사이트(k-gascashback.or.kr)를 통해 가입
* 회원가입이 완료됨과 동시에 캐시백 신청이 완료됩니다.
⏹️ 그렇다면 어떻게 난방비를 절감할 수 있을까?
도시가스 캐시백 사이트를 방문하시면 가스비 절약하는 꿀팁도 나열이 되어있는데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봅시다.
- 도시가스 절약하는 방법
실내온도를 1℃만 낮춰도 7%를 절약할 수 있다는 사실! 슬기로운 난방 생활이 지구를 살리고, 대한민국을 에너지 위기에서 구합니다.
<요약: 가스비는 온수 사용시 가장 많이 발생 -> 절약 요령: 실내 적정 난방 온도(18~20℃)/적정 습도(40~60%) 유지, 적정 온수 온도(40℃) 설정, 중간 수압 사용, 외출 모드 활용>
추가적으로 한번에 많은 온도를 올릴 때 가장 많은 가스비가 나온다고 하니 장기간 외출 시 외출모드보다는 현재 설정온도보다 3-4도가량 낮게 설정하시는 것이 가스비를 절약할 수 있다고 합니다.
그리고 온도를 직접적으로 설정하는 것 보다는 타이머 기능을 이용해 보일러를 가동하는 것도 가스비 절약에 도움이 된다고 하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끝으로,
가족이 늘어날 수록 난방비 걱정이 컸는데, 절감에 성공할지 실패할지 모르겠지만, 캐시백으로 돌려주는 이러한 혜택들은 소식만으로도 난방비 부담이 반으로 줄어드는 느낌입니다.
설사, 도시가스 캐시백을 신청했다가 절감하지 못하더라도 불이익이 없다고 하니 반드시 신청하셔서 캐시백 혜택을 꼭 보시기 바랍니다.
많은 사람들이 난방비 걱정 없이 따뜻한 겨울을 보낼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
'정보일기 > 생활꿀팁 및 정보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행가는 달, 숙박 3만원 할인받아 여행가자! (0) | 2024.02.21 |
---|---|
무료 주소 변경 서비스 'KT moving' 을 아시나요? (0) | 2024.02.07 |
더욱더 풍성한 설 연휴를 위해 '설 연휴 여행,관람 등 즐길거리 알짜정보' (1) | 2024.01.29 |
2024, 청년들을 위한 '청년 주택드림 청약 통장 출시!' (4) | 2024.01.22 |
2024년, 최저시급과 생계지원금 인상됩니다. (1) | 2024.0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