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일기

예금보다 수익이 높은 원금 보장형 수익 상품 IMA 출시 예정!

by 엘리하나 2025. 4. 21.
728x90
728x90

안녕하세요 엘리하나예요.

요즘 들어 고금리 시대가 서서히 저물고, 다시 저금리 시대로 접어드는 분위기죠.
이럴 때일수록 마땅히 믿고 투자할 곳을 찾기가 참 어려운 것 같아요.

게다가 최근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전쟁 이슈로 인해, 재미 삼아 보고 있던 미국 주식 계좌도 점점 녹아내리고 있는 상황이죠.(저만 그런 거 아니죠...? )

그런데요! 이 와중에 정말 우연히, 눈에 띄는 반가운 소식 하나를 발견했답니다.

놀랍게도, 정부에서 직접 준비하고 있는 투자 상품이라고 해요!

도대체 어떤 상품이길래 이렇게 기대가 되는 걸까요?
저와 함께 지금부터 하나씩 자세히 알아볼까요? 

 

💬 IMA 계좌란?

IMA는 ‘종합투자계좌(Integrated Managed Account)’의 줄임말이에요.
쉽게 말하면, 내 돈을 증권사에 맡기면, 증권사가 기업에 투자해 수익을 내주는 구조예요.

근데 여기서 중요한 포인트는?

💡 고객은 원금 손실이 없고, 수익은 예금보다 높을 수 있다는 점!

맞아요. 보통 투자는 원금 손실 위험이 따르는데, IMA는 손실이 발생해도 증권사가 자기 자본으로 책임을 져요.
즉, 증권사가 망하지 않는 이상 내 원금은 안전하다는 얘기죠.

 

📈 어떻게 운용되나요?

금융위원회가 발표한 내용을 보면, IMA 상품은 이렇게 운영돼요:

  • 전체 자산의 70% 이상은 기업금융 자산에 투자
  • 그 중 25% 이상은 모험자본(즉, 성장성 있는 중소·벤처기업 등)에 투자
  • 상품의 70% 이상은 만기 1년 이상으로 구성되어야 해요

👉 그러니까 단기적인 수익보다는 중장기(2~7년) 투자를 염두에 둔 상품이에요.

 

💸 수익은 얼마나?

현재 업계에서는 연 3~8% 수준의 수익률을 목표로 하고 있어요.
예금 금리가 3%도 안 되는 요즘, 꽤 매력적이죠?

물론, 이 수익률은 기본 수익률 + 성과 보수 구조로 나뉘는데요.
예를 들어 기준 수익률을 넘기면, 증권사가 초과 수익의 30~40%를 성과 보수로 가져갑니다.
그래도 고객 입장에선 기준 이상 수익이 나면 좋기만 한 거죠 

항목예금주식IMA

원금 보장 O X O*
수익률 기대 낮음 (1~3%) 변동 큼 중간 (3~8%)
운용 주체 은행 개인 증권사
만기 유무 있음 없음 있음
*증권사 지급 여력 한도 내에서 보장      

🏦 어떤 증권사에서 운영하나요?

IMA 계좌는 아무 증권사나 할 수 없어요.
자기자본 8조 원 이상이라는 조건이 있는데요,
현재 기준으로는 미래에셋증권, 한국투자증권만 해당돼요.

금융위는 올해 3분기부터 운영 신청을 받아 연내 운영사를 지정할 계획이라고 해요.
즉, 빠르면 내년부터 IMA 상품이 출시될 수 있다는 이야기!

 

⚠️ 투자 시 유의할 점

  • 만기형 상품이기 때문에, 만기 이전에 해지하면 손실이 날 수도 있어요.
  • 예금처럼 '중도 해지 원금 보장'은 안 됩니다.
  • 수익을 내기 위해선 최소 2~3년 이상 묶어둘 여유 자금으로 투자하는 게 좋아요.

마무리 한마디

IMA는 '안정성과 수익성'을 동시에 추구하는 투자자에게 새로운 선택지가 될 수 있어요.
물론, 모든 투자엔 공부와 판단이 필요하지만, 이런 새로운 흐름을 알고 있는 것만으로도 큰 자산이죠!

한편으로는 ISA 계좌로 정부가 신뢰를 잃은 만큼 투자가 망설여 지는 것도 사실이예요. 

아직까지는 시간이 남아있는 만큼 여러가지 선택지를 두고 한번 고민해 보는 것도 좋을 것 같아서 소개해봤어요.

728x90
728x90